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모든 과목을 같은 방식으로 공부하려 하면 금방 지치고, 효율도 떨어집니다. 각 과목은 요구하는 능력도, 집중해야 할 포인트도 다르기 때문입니다. 이 글에서는 과목별 성격에 따라 루틴을 어떻게 나눠야 하는지, 실제 적용 예시를 중심으로 설명합니다.

    이론 과목은 ‘이해 중심 루틴’으로 설계해야 합니다

    이론 위주의 과목은 대개 한 번에 암기하려 하기보다, 맥락을 이해하고 구조를 파악하는 학습이 먼저 필요합니다. 공법, 헌법, 경제학 이론 등은 개념 간의 연결을 먼저 봐야 장기 기억으로 이어집니다.

    이론 과목 루틴을 짤 때는 하루 중 가장 집중이 잘 되는 시간대에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. 특히 뇌가 깨어 있는 오전이나, 에너지가 회복된 저녁 초반이 효과적입니다. 또한 같은 주제를 여러 방식으로 반복하는 식의 구성도 필요합니다.

    예:
    - 오전 9시: 헌법 통치구조 이론 정독
    - 오후 2시: 관련 기출 지문 OX
    - 저녁 7시: 간단한 요약 노트 정리

    이처럼 ‘하루에 한 개념을 세 번 다른 방식으로 접하는 구조’를 만들면, 이론은 단순 암기가 아니라 서서히 스며드는 방식으로 체화됩니다.

    암기 과목은 짧고 자주, 리듬 있게 반복해야 합니다

    암기 위주 과목은 반복 주기와 밀도가 핵심입니다. 한 번에 오래 붙잡는 것보다, 짧은 시간 동안 자주 보는 구조가 훨씬 효과적입니다. 예를 들어 민법 조문, 형법 판례, 암기 과목 요약서는 하루에 15~30분 단위로 3~4회 나눠 보는 구조가 효율적입니다.

    중요한 건 ‘반복을 위한 루틴의 고정’입니다. 예를 들어 식사 직후, 쉬는 시간 직전, 자기 전 등 뇌가 비교적 가볍고, 긴장도가 낮을 때 넣는 식입니다. 이 시간대는 깊은 이해는 어렵지만, 짧은 암기 정보는 잘 흡수됩니다.

    또한 암기 루틴은 하루, 이틀, 3일 후 다시 꺼내보는 ‘간격 반복 방식’을 넣는 것이 좋습니다. 그렇게 되면 기억의 사라짐 곡선에 맞춰 적은 시간으로 더 많은 내용을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.

    문제풀이 과목은 실제 시험처럼 설계해야 실력이 늡니다

    사례형 문제나 선택형 연습은 단순한 실력 점검이 아니라, 시험 감각을 키우는 루틴으로 접근해야 효과가 있습니다. 그래서 문제풀이 루틴은 늘 ‘실전 시간’과 비슷하게 잡아야 합니다.

    예를 들어 민사소송법 사례형 3문제를 푼다고 할 경우, 실제 시험처럼 타이머를 맞춰놓고 풀이→검토→오답 정리를 루틴화합니다.
    - 풀이: 45분
    - 검토: 15분
    - 오답: 30분

    문제풀이 루틴은 ‘지문 이해’보다 ‘상황 파악과 판단 흐름’을 점검하는 데 초점을 둬야 합니다. 또한 그날의 컨디션에 따라 난이도 조절도 필요합니다. 피로한 날에는 한 문제만 정확하게 풀고, 여유 있는 날은 3~4문제 세트를 구성하는 식입니다.

    문제풀이 루틴은 실력보다 리듬이 먼저입니다. 흐름을 익히면 점수는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.

    모든 과목을 똑같이 대하면 성장은 더뎌집니다. 과목별 특성을 분석하고, 내 생활 패턴에 맞는 루틴을 나누어 설정하면 공부는 점점 체계화되고, 효율은 눈에 띄게 오릅니다. 지속 가능한 수험 루틴은 디테일에서 만들어집니다.

    반응형